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LV.3
- 동적계획법
- 그래프
- 해시
- 고득점Kit
- 쿠쉬쿠쉬
- C++
- BruteForceSearch
- C
- 코테준비
- 알고리즘
- 문제풀이
- 프로그래머스
- 면접질문
- 코딩테스트준비
- Lv.1
- Algorithm
- BFS
- 단지번호붙이기
- 파이썬
- 운영체제
- 코딩테스트
- 이분그래프판별
- Java
- Lv.2
- 2색칠하기
- Python
- hash
- OS
- Today
- Total
목록코테준비 (19)
쿠쿠의기록
문제 괄호 문자열(Parenthesis String, PS)은 두 개의 괄호 기호인 ‘(’ 와 ‘)’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자열이다. 그 중에서 괄호의 모양이 바르게 구성된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(Valid PS, VPS)이라고 부른다. 한 쌍의 괄호 기호로 된 “( )” 문자열은 기본 VPS 이라고 부른다. 만일 x 가 VPS 라면 이것을 하나의 괄호에 넣은 새로운 문자열 “(x)”도 VPS 가 된다. 그리고 두 VPS x 와 y를 접합(concatenation)시킨 새로운 문자열 xy도 VPS 가 된다. 예를 들어 “(())()”와 “((()))” 는 VPS 이지만 “(()(”, “(())()))” , 그리고 “(()” 는 모두 VPS 가 아닌 문자열이다. 여러분은 입력으로 주어진 괄호 문자열..
문제 구간은 [s, e] 로 나타내고, 이 의미는 s, (s+1), (s+2), …, (e-1), e 와 같이 숫자를 나열한 것을 의미한다. 예를 들어, [1, 4]는 1, 2, 3, 4로 숫자를 나열한 것을 의미한다. n개의 구간이 있고, 이 구간들의 숫자를 모두다 새로운 배열 S에 넣어 정렬을 한다. 이 때 S[i] 의 값이 무엇인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예를 들어, 3개의 구간 [1, 3], [2, 10], [1, 8] 이 있고, S[5]를 알고싶다고 하자. 그러면 S = [1, 1, 2, 2, 2, 3, 3, 3, 4, 4, 5, 5, 6, 6, 7, 7, 8, 8, 9, 10] 이 되고, 따라서 S[5]는 3이 된다.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는 것에 주의하자. 입력 첫 번째 줄..

문제 n개의 숫자가 주어지고, 이 중에서 r개의 연속된 숫자를 선택했을 때, 이 연속 부분 내에는 숫자가 중복되지 않기를 원한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이 10개의 숫자에서 3개의 연속된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. 이렇게 선택을 하면, 선택된 숫자들 사이에서는 중복이 존재하지 않는다. r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위의 경우, (4, 2, 1, 3)을 선택하면 되므로 r의 최댓값은 4이다. r이 5 이상이 될 경우, 중복 없이 연속 부분을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. 입력 첫째 줄에는 숫자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 1 ≤ n ≤ 100,000 ) 둘째 줄에 n개의 숫자가 주어진다. 각 숫자는 항상 1보다 크거나 같고, n보다 작거나 같다. 출력 r의 최댓값을 출력한다. 예제 입력 10 1 3..
문제 얼마전에 큰맘 먹고 새로운 절단기를 구입한 목수 윤성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. 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. 먼저, 윤성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.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. 그 다음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. 따라서,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,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. 예를 들어,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, 15, 10, 17이라고 하자.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,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, 15, 10, 15가 될 것이고, 윤성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. (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) 목수 윤성이는 과유불급을 좌우명으로 삼고 있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