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C
- OS
- Python
- 코테준비
- Java
- LV.3
- 코딩테스트준비
- 고득점Kit
- 프로그래머스
- 해시
- 면접질문
- BruteForceSearch
- 코딩테스트
- Lv.2
- 2색칠하기
- 쿠쉬쿠쉬
- 그래프
- 동적계획법
- 단지번호붙이기
- Lv.1
- 이분그래프판별
- 알고리즘
- hash
- 운영체제
- BFS
- 문제풀이
- C++
- 파이썬
- Algorithm
- Today
- Total
목록cs (2)
쿠쿠의기록

- 목차 - 1. 프로세스의 개념 2. 프로세스의 상태 3. 프로세스 제어 블록 4. 문맥교환 5.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큐 6. 스케줄러 7. 프로세스의 생성 8. 프로세스 간의 협력 1.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 실행 중인 프로그램 의미 (프로그램 코드 + 데이터 + PCB) 프로그램 코드 => 식별자, 상태 등 여러 문맥정보 필요 위 정보들 PCB(Process Control Block : 제어블록)라는 자료구조에 담아 관리 PCB에 저장된 정보 식별자 프로세스의 상태 PC(Program Counter) 메모리 포인터 : 프로그램 코드, 데이터등의 메모리상의 주소 Context data I/O state : 프로세스에 할당된 I/O장치, 및 이벤트 정보 Accounting informatio..

- 목차 - 1. 프로그램의 구조와 인터럽트 2.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 개요 3. 프로그램의 실행 4.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함수 5. 인터럽트 6. 시스템 콜 7. 프로세스의 두 가지 실행 상태 1. 프로그램의 구조와 인터럽트 프로그램의 구조 (CPU 명령 수행 시, 명령 담은 프로그램 주소 영역이 메모리에 올라가 있어야 함) 주소 영역 코드 : 프로그램 함수들의 코드 => 기계어 명령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 데이터 : 전역 변수 등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 저장 스택 : 함수 호출 시, 함수 수행후 복귀할 주소 및 데이터 임시 저장 인터럽트 (함수 호출과 비슷) 인터럽트 때문에 CPU를 빼앗긴 위치는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PCB(프로세스 제어 블록)에 저장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PCB에 해당 프로그..